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멋유]명작문학..죄와 벌_도스토예프시키_1886

생각하는 명작

by 뉴쓰 2021. 12. 9. 10:15

본문

반응형

[멋유]명작문학..죄와 벌_도스토예프시키_1886

 

죄와 벌 줄거리

주인공인 대학생 라스콜리니코프는 서구적인 합리주의자이며 무신론자입니다. 그는 빈곤과 고뇌에 허더이며 그의 좁은 하숙방에서 추상적 사색에 몰두합니다. 그는 고독한 사색 끝에 드디어 그 나름의 초인사상을 체계화합니다. "누가 나폴레옹의 살인죄를 물었던가? 나폴레옹은 사상 최대의 범죄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를 위인으로 존경하지 않는가. 그것은 나폴레옹이 범인이 아니었기 때문이디." 여기서 그는 가난한 사람들의 피를 빨아먹는 것 외에는 아무런 존재 이유도 없는 전당포의 노파를 살해할 생각을 품습니다. 자기는 비범인이기 때문에 무자비한 고리대금업자인 노파를 살해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정당한 것이라는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합니다.

 

마침내 라스콜리니코프는 노파를 도끼로 살해합니다. 그리고 그 때 마침 살인 장소에 와 있던 노파의 여동생까지도 살해하고 맙니다. 그러나 그는 범행 지후부터 낮과 밤을 악몽처럼 보내며 양심의 가책과 고민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이 고민은 논리와 이지가 명령한 논리적 의지와 인간의 내부에 도사린 선과 악 정의와 정신적 의지와의 충돌에서 생기는 투쟁이었습니다. 그는 자기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관헌과 암투를 계속하는 한편 심각한 고민과 회의를 거듭한 끝에 자기는 무가치한 범인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비범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는 우연히 알게 된 선량하고 신앙심이 깊은 성스러운 매춘부 소냐의 끈질긴 권유를 받고 자수하기로 결정 그후 시베리아에 유형됩니다.

 

 

죄와 벌 감

[죄와 벌]은 도스토예프스키가 어느 악덕 출판업자에 진 부채를 갚기 위해 씌어진 불후의 사상소설입니다. 작자가 이 소설을 쓸 당시 러시아에서는 "사회의 부정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도 허용된다."는 허무주의적인 초인사상이 한창 유행했습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도 초인사상의 소유자로 범인은 기성의 도덕과 법률에 복종할 의무가 있으나 비범인은 그러한 도덕과 법률을 초월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범행 후 그는 미칠 듯한 고독감과 강박관념에 그만 굴복당하고 마는데 이는 바로 당시 사회사상에의 희생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모든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선과 악 악덕과 자유의지, 인간과 신의 문제를 취급합니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악을 대표하는 주인공이 선의 상징인 소냐 앞에 굴복하고 맙니다. 이것은 이지와 논리에 대한 신정과 양심의 승리라도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소냐는 복음서적인 사랑과 인종의 사도이며 무신론자 라스콜리니크프에 대립되는 구원의 존재로 그려져 있습니다. 에필로그에서 그녀의 감화에 의한 주인공의 종교적 갱신과 정신적 부활이 그려지고 있으나 이 부분은 예술적인 박력이 부족하고 충분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지 못합니다. 이에 반해 합리적인 원리와 비합리적인 원리 사이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모순에 직면한 주인공의 심각한 고민은 투철한 심리분석과 극적인 박진력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